티스토리 뷰

node.js

node.js - 개발 서버 실행과 빌드

김소비요정 2021. 9. 8. 22:09

개발 서버 (로컬) 실행

'Open with Live server '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개발서버를 여는 방식은 조금 옛날(?) 방식이래요,,🥲 

 

  1. package.json 코드 수정
    parcel-bundler가 번들을 해준다
    * 번들 : 우리가 프로젝트 개바에 사용한 여러 모듈(패키지)을 하나로 묶어내는 작업을 말합니다.
     "scripts": {
        "dev": "parcel index.html",
      },
     
  2. terminal 명령어 실행
    npm run dev

개발 서버 빌드  

  1. package.json 코드 수정
     "scripts": {
        "dev": "parcel index.html",
        "build": "parcel build index.html"
      },
  2. terminal 명령어 실행
    npm run build
    명령어를 실행하면 dist 폴더가 생성되고, 그 안에 파일을 확인해보면 코드가 다다닥(?) 한 줄로 작성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 이를 코드의 난독화라고 한다.
    * 코드 난독화 : 작성된 코드를 읽기 어렵게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. 빌드된 결과는 브라우저에 해석되는 용도로 용량을 축소하고 읽기 어렵게 만드는 등의 최적화를 거치는 것이 좋다.

설치한 Package 사용하기

'use strict';

import _ from 'lodash';

console.log('hello, world!');
console.log(_.camelCase('hello world'));
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ode.js - 유의적 버전  (0) 2021.09.08
node.js - npm & package 설치  (0) 2021.09.07
node.js - node 설치 (nvm)  (0) 2021.09.06
node.js - node.js 란?  (0) 2021.09.06